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23

살충제(Feat. 빈대) 안녕하세요~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의 흥. 재. 과입니다! 최근 빈대에 관한 뉴스가 보도되면서 한국에서도 빈대로부터 안전하지 못하게 되었는데요 빈대의 가장 무서운 점은 살충제로도 완전히 박멸하기 힘들다는 것입니다. 현재 이러한 벌레들을 제거하는 데 어떠한 살충제가 쓰이는 지, 그리고 내성이 생기는 이뉴는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오늘은 살충제의 종류와 원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살충제 1. 살충제의 원리 살충제로 쓰이는 성분은 매우 다양한데요. 오늘은 가장 대표적인 두 가지 살충제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피레스로이드(Pyrethroid) 가정에 쓰이는 대부분의 살충제는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가 많은데요! 식물 中 벌레를 없앤다라는 뜻을 가진 '제충국'에서 피레트린이라는 물질이 있습니다... 2023. 11. 16.
수소연료전지(Feat. 수소차) 안녕하세요. 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의 흥. 재. 과입니다! 전기차와 함께 친환경적인 교통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는 수소차는 세계 각국의 수소 기술연구를 통해 많은 발전을 해왔습니다. 최근에는 평택시에서 2026년까지 총 470억을 투자하여 교통, 산업, 주거 등에 쓰이는 주요 에너지원을 수소로 사용하는 '수소도시'를 조성하겠다고 발표하였는데요 탄소중립을 위한 핵심 에너지원으로 수소는 청정한 대체재이지만 여전히 도전과제들은 남아있고 상용화하는데 제약이 많습니다. 오늘은 수소에너지와 수소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수소연료전지 1. 수소에너지란? 우주에서 가장 풍부한 원소가 수소이지만(약 75% 차지) 지구 대기 중의 수소 비율은 0.00005% 수준으로 매우 작습니다. 하지만 수소가 무한한 자원으로 간주되는 이.. 2023. 11. 15.
녹조현상(Feat. 적조현상) 안녕하세요. 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의 흥. 재. 과입니다! 매년 기온이 높아지는 여름시기에 녹조에 관련된 뉴스가 보도될 만큼 해양 생태계에서 벌어지는 자연 현상 중 녹조현상은 저희에게 익숙한 조류 현상입니다. 양식과 같은 어업활동에 차질이 생기고 인근 지역 주민사람들에게 건강문제와 경제적 손실을 발생시킵니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인한 전 세계적 기온상승으로 매년 기록적인 폭염을 일으키며 한국의 경우 경남권의 낙동강에서 녹조의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녹조현상이 일어나는 이유와 대응하기 위한 노력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녹조현상 1. 녹조란? 녹조는 녹색 빛을 띠는 남조류와 녹조류의 과다 증식으로 인하여 공기 중에 있는 산소가 물속으로 투과하지 못해 충분한 산소 공급을 못하게 됩니다! .. 2023. 11. 9.
미세먼지란? 안녕하세요~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의 흥. 재. 과입니다! 한국의 경우 봄철 황사와 함께 중국발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리기 시작하는데요. OECD국가들 중 미세먼지 수준이 가장 심한 나라 중 하나이며 한국의 미세먼지 농도는 OECD 평균의 2배가 넘는 수준으로 사회적 재난으로 분류할 만큼 심각한 상황입니다. 하지만, 대기 중에 떠다니는 미세한 입자이기에 눈에 보이지 않아 그 심각성과 영향을 직접적으로 인지하기가 어렵습니다. 오늘은 미세먼지의 정의와 발생원인, 그리고 그 심각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미세먼지(Fine Dust) 1. 미세먼지란? 미세먼지(Fine Dust)는 지름이 10μm(마이크론) 이하의 먼지로서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작고 가벼워 대기 중에 떠다닐 수 있고, 초미세먼지는 지름이 2.5 .. 2023. 11. 8.
암이란? 안녕하세요~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의 흥. 재. 과입니다! 의학이 발달함에 따라 많은 난치병들이 개선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암은 현대사회에 들어서도 여전히 무서운 질병 중 하나입니다. 내장기관은 물론, 피부, 구강, 후두 등 다양한 부위에 암이 발현되며 유전적 성질 및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수많은 사람들의 생명을 빼앗아 갔습니다. 심장질환, 뇌혈관질환과 함께 3대 사망원인으로 꼽히는 암! 오늘은 암의 본질과 항암제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암 1. 암의 본질 인간뿐만 아니라 모든 생명체는 개체가 성장함에 따라 세포 분열을 통해 끊임없이 새로운 세포를 만들고 기능을 다한 세포는 죽어 사라지기를 반복합니다. 정상적인 세포는 오래되거나 문제가 있을 때 죽어서 없어지게 되는 것이죠. 하지만 암세포는 돌연변이 성격을.. 2023. 11. 7.
발효와 부패(Feat. 세포호흡) 안녕하세요~ 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의 흥. 재. 과입니다!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오래된 김치에 하얀색 막 같은 것들이 피어났던 것을 한 번쯤 보셨을 텐데요. 이것은 곰팡이가 아닌 이것은 발효과정 중 생겨나는 '골마지'입니다. '세계김치연구소'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골마지에는 독성 반응이 일어나지 않았으며 유전체 또한 독성 관련 유전자가 없다고 발표하였습니다. 따라서, 하얀색 골마지가 낀 경우 물로 씻은 뒤 섭취하여도 문제가 없다는 것이죠. 하지만, '골마지'가 아닌 초록색, 파란색, 검은색 등 곰팡이가 핀 경우에는 발효가 아닌 부패했다는 것이고 독성이 있기에 절대로 먹으면 안 됩니다. 오늘은 미생물의 증식함에 따라 생기는 음식의 발효와 부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발효와 부패 1. 세포호흡 기본적으로 발효.. 2023. 11.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