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흥.재.과] 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우주]27

별의 마지막 한계 - 찬드라세카르 한계질량 안녕하세요~ 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의 흥. 재. 과입니다. 우리가 밤하늘에서 보는 수많은 찬란한 별들도 결국 생을 마감하게 되는데요그들 중 일부는 일정한 한계를 넘어서는 순간 폭발하거나 사라지게 됩니다! 별의 운명을 결정하는 경계선이 바로 찬드라세카르 한계질량입니다! 이 법칙은 인도 태생 미국인인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가 19세의 젊은 나이에 발견했는데요.초기에는 이 이론에 대한 학계 내의 반대와 의심이 있었지만 그의 이론에 대한 헌신과 입증으로1983년 윌리엄 아플레드 파울러와 함께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오늘은 19세의 천재 과학자가 발견한 찬드라세카르와 한계질량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찬드라세카를 한계질량(Chandrasekhar Limit) 1. 찬드라세카르 한계질량이란?별은 일생.. 2025. 2. 3.
우주는 왜 끊임없이 팽창하는가?(Feat. 아인슈타인의 실수) 안녕하세요~ 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의 흥. 재. 과입니다! 지금은 우주가 끊임없이 팽창한다는 사실이 당연한 상식으로 받아들여지지만.20세기 초반까지만 해도 과학자들은 우주가 팽창속도를 늦추며점차 수축하는 방향으로 갈 거라 믿었는데요. 하지만 천문학자들의 관측한 데이터는 기존의 예측과 정반대였습니다.먼 우주에서 폭발한 초신성으로 인해 우주의 본질과 구성요소들을 바꿔 놓았는데요. 1929년 에드원 허블이 망원경으로 은하들 사이의 거리를 분석하여 제시된 우주 팽창론이70년이 지난 후에 정설로서 자리 잡게 된 것이죠. 오늘은 빅뱅 이후의 우주와 초신성과의 관계, 그리고 암흑에너지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주의 팽창 1. 초신성(Supernova)초신성은 별이 일생의 마지막 단계에서 폭발하며 엄청난 에너지를 .. 2025. 1. 16.
절대 영도란?(Feat. 열역학 제 3법칙) 안녕하세요~ 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의 흥. 재. 과입니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섭씨( °C)를 많이 사용하는데요!물의 어는점 0°C와 끓는점 100°C로 정의하여 직관적이고 활용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과학의 영역에서는 켈빈(K)이라는 온도 단위를 주로 사용하는데요.켈빈은 열역학적 온도의 기준을 제시하며, 절대 영도(0K)라는 우주의 가장 낮은 온도를 기준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입니다. 즉, 켈빈이 자연의 본질에 더 가까운 단위이고,모든 온도를 에너지와 직접적으로 연관시킬 수 있는 물리적 척도인데요! 오늘은 켈빈의 온도 단위를 중심으로 열역학 제3법칙과우주의 이론적 가장 차가운 온도인 절대영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절대 영도(0K) 1. 절대 영도란?절대 영도는 물리학에서 온.. 2025. 1.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