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12 시간이 느려진다고? 아인슈타인의 미친 이론! - 특수상대성이론 1탄 안녕하세요~ 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의 흥. 재. 과입니다! 우리는 시간과 공간이 누구에게나 동일하게 흐르고 적용된다고 생각합니다.하지만 시긴과 공간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것이며,움직이는 사람과 정지한 사람에게 다르게 흐르는데요! 1905년, 아인슈타인의 기적의 해라고 불리는 이 시기에아인슈타인은 기존 물리학의 상식을 뒤집는 혁명적인 이론들을 발표했습니다.이 한해에만 무려 4개의 논문을 발표하였고 이 중운동하는 물체의 전기동역학( On the Electrodynamics of Moving Bodies)이라는 논문이 바로 특수상대성이론을 제시한 논문입니다. 오늘은 특수상대성이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특수상대성이론 1탄 1. 특수상대성이론과 일반상대성이론의 차이1905년 발표된 특수상대성이.. 2025. 2. 6. 별의 마지막 한계 - 찬드라세카르 한계질량 안녕하세요~ 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의 흥. 재. 과입니다. 우리가 밤하늘에서 보는 수많은 찬란한 별들도 결국 생을 마감하게 되는데요그들 중 일부는 일정한 한계를 넘어서는 순간 폭발하거나 사라지게 됩니다! 별의 운명을 결정하는 경계선이 바로 찬드라세카르 한계질량입니다! 이 법칙은 인도 태생 미국인인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가 19세의 젊은 나이에 발견했는데요.초기에는 이 이론에 대한 학계 내의 반대와 의심이 있었지만 그의 이론에 대한 헌신과 입증으로1983년 윌리엄 아플레드 파울러와 함께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오늘은 19세의 천재 과학자가 발견한 찬드라세카르와 한계질량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찬드라세카를 한계질량(Chandrasekhar Limit) 1. 찬드라세카르 한계질량이란?별은 일생.. 2025. 2. 3. 우주는 왜 끊임없이 팽창하는가?(Feat. 아인슈타인의 실수) 안녕하세요~ 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의 흥. 재. 과입니다! 지금은 우주가 끊임없이 팽창한다는 사실이 당연한 상식으로 받아들여지지만.20세기 초반까지만 해도 과학자들은 우주가 팽창속도를 늦추며점차 수축하는 방향으로 갈 거라 믿었는데요. 하지만 천문학자들의 관측한 데이터는 기존의 예측과 정반대였습니다.먼 우주에서 폭발한 초신성으로 인해 우주의 본질과 구성요소들을 바꿔 놓았는데요. 1929년 에드원 허블이 망원경으로 은하들 사이의 거리를 분석하여 제시된 우주 팽창론이70년이 지난 후에 정설로서 자리 잡게 된 것이죠. 오늘은 빅뱅 이후의 우주와 초신성과의 관계, 그리고 암흑에너지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주의 팽창 1. 초신성(Supernova)초신성은 별이 일생의 마지막 단계에서 폭발하며 엄청난 에너지를 .. 2025. 1. 16. 이전 1 2 3 4 ··· 3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