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24

배터리 4대 구조 - 분리막 안녕하세요~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 흥. 재. 과입니다! 저번 포스팅에서 배터리의 용량과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양극재와 음극재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오늘 알아볼 분리막은 배터리의 용량보다는 안정성과 성능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소재입니다! 만약 이 분리막에 하자가 있다면 여러 안전문제들이 발생하게 됩니다. 내부 단락으로 인한 과열현상이나 폭발까지도 이뤄질 수 있기에 안전한 배터리 운영을 위해서는 분리막의 품질을 유지하여 문제를 미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단락(Short Circuit) 단락은 극이 서로 다른(양극과 음극)것이 직접적으로 연결되면 정상적인 전류 흐름보다 훨씬 높은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 과열, 화재 위험 有 오늘은 분리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분리막 1. 분리.. 2023. 9. 18.
배터리 4대 구조 - 음극재 안녕하세요~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 흥. 재. 과입니다! 저번 포스팅에서 전자를 방출하고 용량을 결정하는 양극재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음극재는 양극재에서 나온 리튬이온 전자를 저장하고(충전) 다시 전자를 양극재에게 돌려주는(방전) 과정을 거치며 화학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전환되는 것입니다. 양극재와 음극재는 서로 종속적인 관계를 가지며 마치 열쇠와 자물쇠 같이 원활한 상호 협력관계를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것이죠. 오늘은 음극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음극재 1. 음극기재(Negative Electrode) 음극기재 또한 양극기재와 마찬가지로 전자를 이동시키는 통로이며 배터리에서 나오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현재 리튬이온배터리에서 쓰이는 음극기재는 대부분 동박(Cu)입니다. 동박은 전기 전도.. 2023. 9. 15.
배터리의 4대 구조 - 양극재 안녕하세요~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 흥. 재. 과입니다! 배터리 3사라고 하는 완성업체 외에도 배터리의 4대 구조(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액) 국내 제조 업체에 대한 관심도 많아졌습니다! ※ 양극활물질 : 에코프로비엠, 포스코케미컬, 코스모 신소재, 엘앤에프 ※ 음극활물질 : LG화학, 포스코케미컬, SK머티리얼즈, 롯데그룹 ※ 분리막 : WCP, SKIET ※ 전해액 : 엔켐, 동화일렉트로라이트 한국의 뛰어난 R&D와 공정기술로 점차 세계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데요! 오늘은 배터리 4대 구조 中 양극재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배터리의 4대 구조 1. 양극기재(Positive Electrode) 양극기재는 전자의 이동통로가 되며 양극 활물질을 입히기(코팅) 위한 양극박을 말하는 것입니다. 현재.. 2023. 9. 13.
배터리란(1차전지, 2차전지)? 안녕하세요~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 흥. 재. 과입니다! 환경 문제에 대한 높은 관심과 다양한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21세기 들어 가장 촉망받는 과학 산업 중 하나입니다! 글로벌 배터리 시장 업계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약 30%를 상회할 정도로 뛰어난 기술력과 큰 규모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 삼성 SDI, SK온) 사실 배터리(전지)는 무려 200년 전에 개발된 전기 저장 장치인 사실! 1800년대 이탈리아의 과학자 알렉산드로 볼타는 구리와 아연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볼타 전지를 개발하였습니다! 이것이 최초의 상용 전기화학 전지였죠ㅎㅎ 이러한 배터리는 크게 1차 전지와 2차 전지로 나뉘는데요! 오늘은 배터리의 간단한 정의와 동작 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배터리 1. 1차 전.. 2023. 9. 11.
태양계 탐사 외전 : 명왕성(Pluto) 안녕하세요~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 흥. 재. 과입니다! 오늘은 한때 태양계 행성이었지만 지금은 왜행성으로 분류된 명왕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06년까지는 태양계 행성으로 나와있었습니다.) 명왕성의 영어이름은 Pluto로 그리스 로마신화에서 명계의 왕이자 지하세계를 다스리는 신인 하데스를 뜻합니다. 하데스라는 이름이 아래 사진과 같이 약간은 어두운 기운을 내뿜고 태양과도 가장 멀리 떨어져 있으니 추운 환경을 잘 상징하는듯합니다ㅎㅎ 국제천문연맹에서 명왕성이 태양계행성에 왜 포함되었으며 2006년에는 왜 제외되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명왕성 1. 명왕성의 발견 1930년대 외부 은하를 관측하던 미국의 천문학자 클라이드 톰보(Clyde Tombaugh)는 여러 소행성 중 사진관측을 통하여 명왕성을 발견하였.. 2023. 9. 8.
태양계 탐사 : 해왕성(Neptune) 안녕하세요~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 흥. 재. 과입니다! 오늘은 태양계 행성 중 눈으로 관측할 수 없는 유일한 행성인 해왕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천왕성까지는 맨눈으로도 관측이 가능합니다.) 아마 이름에서부터 눈치를 채셨겠지만 해왕성의 영어이름 Neptune은 그리스 로마신화 중 바다의 신 포세이돈을 뜻합니다. 아래 사진같이 해왕성의 모습 또한 시원한 바다를 연상시키지 않나요? 오늘은 태양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행성! 해왕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해왕성 1. 해왕성의 외관 해왕성은 천왕성에 비해는 작은 편이지만 여전히 지구보다는 크며 지구의 57배 정도의 부피를 가지고 있습니다. 해왕성의 표면온도는 -214℃로 천왕성만큼은 아니지만 여전히 엄청나게 추운 행성이죠. 그리고 태양과 아주 멀리 떨어져.. 2023. 9.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