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흥.재.과] 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

살충제(Feat. 빈대)

by GJRScience 2023. 11. 16.
반응형

안녕하세요~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의 흥. 재. 과입니다!

 

최근 빈대에 관한 뉴스가 보도되면서 한국에서도 빈대로부터 

안전하지 못하게 되었는데요

 

빈대의 가장 무서운 점은 살충제로도 완전히 박멸하기 힘들다는 것입니다.

현재 이러한 벌레들을 제거하는 데 어떠한 살충제가 쓰이는 지,

그리고 내성이 생기는 이뉴는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오늘은 살충제의 종류와 원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살충제

 

살충제

 

1. 살충제의 원리

 

살충제로 쓰이는 성분은 매우 다양한데요.

오늘은 가장 대표적인 두 가지 살충제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피레스로이드(Pyrethroid)

가정에 쓰이는 대부분의 살충제는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가 많은데요!

 

식물 中 벌레를 없앤다라는 뜻을 가진 '제충국'에서 피레트린이라는 물질이 있습니다.

이 식물성 화합물을 추줄 하여 인공적으로 만든 살충제가 바로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입니다.

 

이 성분이 곤충의 신경세포의 나트륨 통로와 반응하여 신경을 과도하게 자극하게 됩니다.

이렇게 신경계가 자극되면 발작을 일으키듯이 근육이 떨리게 되고 결국 죽게 되는 것이죠.

 

포유류에게는 이러한 성분을 분해할 수 있는 효소를 가지고 있기에 치명적이지 않지만

독성이 있기에 많은 양에 노출되면 인체에 유해할 수 있습니다.

 

유기인계(Organophosphate)

인(P)을 중심으로 결합된 화합물이며 농약으로서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살충제입니다!

곤충의 신경전달 물질 분해를 방해함으로써 곤충을 죽게 만드는데요.

 

주로 농업에 쓰이는 이유는 저렴한 비용과 빠른 효과로

곤충으로부터 작물을 보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상대적으로 자연에서 쉽게 분해가 되는 편입니다.

 

하지만 이 유기인계는 피레스로이드 계열보다 독성이 높기에 

고농도 혹은 오랜 기간 노출되게 되면 신경독성의 위험이 있습니다.

농업에 사용 시 안전장비를 갖추고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2. 살충제의 내성

곤충들은 유전적 진화를 거듭하며 살충제에 대한 내성이 생길 수 있는데요.

곤충에게 지속적인 살충제의 노출은 유전적 변이를 일으키게 되며

특정 집단에서 유전자가 전파되면 내성이 생기는 것입니다!

 

DDT

스위스의 화학자 폴 헤르만 뮐러(Pail Hermann Muller)는 DDT를 발견함으로써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했을 정도로 강력한 살충효과를 가졌는데요.

 

생태계가 파괴되어 '침묵의 봄'이라는 책이 출판되어 전 세계적 화제가 됐을 정도로

매우 강력했던 살충효과를 가졌지만 이 역시도 내성이 생긴 케이스가 있습니다.

 

아프리카에서 말리리아 예방을 위해서 쓰였던 DDT가 세대를 거쳐

모기에게 내성이 생겼고 결국 DDT의 효과가 줄어들어 다른 살충제를 찾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빈대

 

3. 빈대의 진화

 

한국전쟁 이후 빈대는 한국에서도 흔한 해충이었는데요.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운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그들의 번식력과 생존능력은 매우 뛰어납니다.

 

일반적인 피레스로이드 계열 살충제를 쓴 빈대에게는 죽지 않고 내성이 생겨

1000배 높은 농도의 살충제를 써야 할 만큼 진화를 하였는데요.

이를 '슈퍼빈대'라고 불리면서 살충 효과가 없어져 버리는 상황이 생겼습니다.

 

'슈퍼빈대'의 유일한 약점이었던 DDT의 무차별적인 살포로

약 40년간 한국에서는 볼 수 없을 정도로 박멸되었지만

최근 유렵발 빈대가 넘어오게 되면서 다시금 이슈가 되고 있는데요.

 

앞서 말했듯 DDT는 환경에 큰 피해를 주는 살충제이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마땅한 해결책이 없는 상황이며 DDT에 대한 내성도 무시할 수 없기에

조금 더 경과를 지켜보고 대응을 해야 할 시점인 거 같습니다!.

 

해충을 박멸함에 있어서 살충제는 필수적인 수단이지만

빈대를 잡기 위해 DDT를 사용하지 못하듯이

환경오염과 지구 생태계를 고려해야 하기에 막연히 편리한 수단은 아닙니다.

 

그렇기에 살충제 분야는 지구 생태계를 위해서

농업 생산성과 환경보호를 위한 연구와 협력이 필요한 상황이며

향후에는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보겠습니다!

 

이상 흥. 재. 과였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