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흥.재.과] 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

냄새 : 후각

by GJRScience 2023. 10. 20.
반응형

안녕하세요~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의 흥. 재. 과입니다!

 

후각은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그 중요성에 대해 덜 강조되어 왔습니다.

2011년 미국에서 한 기업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휴대전화, 컴퓨터를 포기하는 대신

후각을 포기하겠다는 선택이 과반수를 넘었을 정도이죠.

 

하지만 후각은 가장 원시적인 감각기관으로 매우 중요한 기관입니다.

 

냄새는 무의식적으로 감지되는 것이기에 기억과도 연결되어 있고

그 사람의 이미지를 결정하는데도 영향을 끼치죠.

그렇기에 많은 사람들이 좋은 이미지와 만족을 위해서

향수를 뿌리고 특정 향수를 써서 본인의 이미지를 고착화시키기도 합니다!

 

세상에는 최대 약 40만 가지의 다양한 냄새들이 존재하며

인간은 약 만 가지의 냄새를 구별할 수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냄새를 감지하는 후각의 원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후각

 

좋은 향기

 

1. 후각의 원리

후각은 비강에 있는 후각신경세포에 의해 냄새분자가 냄새 수용체와 결합한 후

뇌로 전달하게 되어 냄새를 인식하게 됩니다!

 

미각은 단맛, 쓴맛, 신맛, 짠맛, 감칠맛 총 5가지에 비해

후각은 약 1000가지의 후각 수용체에 의해서

만 가지의 냄새를 구별하며 맛을 느끼는 데에도 크게 기여를 하기에

코를 막고 음식을 먹는다면 그 맛을 제대로 느끼지 못하게 되죠.

 

또한, 음식의 냄새를 맡게 되면 조건 반사에 의해서 

위액의 분비가 자발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식욕을 증진시켜

소화를 돕기 위해 신체에 여러 신호를 보내게 됩니다.

 

강아지의 후각

 

2. 강아지의 후각

강아지는 후각은 인간보다 수만 배나 민감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강아지의 코는 일반적으로 인간보다 길기에

비강 속에 있는 후각상피 또한 더 넓으며 후각신경세포는 무려 2억 개에 달합니다.

 

촉촉한 코

강아지의 코는 항상 촉촉하게 젖어있는 걸 확인할 수 있는데요!

이러한 점막으로 덮혀져 있는 코는 냄새 분자를 잡아두기에 최적화되어 있는 형태입니다.

강아지의 후각 의존도는 무려 40%나 되기에 

혀로 항상 코를 핥아 젖어있는 상태로 민감도를 유지하여

냄새를 분석하여 어디에 먹이가 있는지 찾을 수 있게 합니다.

 

눈물샘

강아지의 눈물샘은 항상 일정량의 눈물을 저장하기에

수면 시 이 눈물이 강아지의 코로 흘러들어 가 촉촉하게 유지해 줍니다.

 

그렇기에 만약 강아지의 눈물이 과도하게 흐르거나 코가 건조하게 된다면

몸의 밸런스가 무너진 것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반응형

3. 후각에 관한 흥미로운 실험

흔히 '살 냄새'라고 하는 개인의 독특한 체취는 우리의 면역세포에 있는

MHC(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에서 나오는 냄새입니다.

 

※ 주조직적 복합체(MCH)

세포 표면에 위치해서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성 물질을 구별하는 역할을 하는 면역체계의 주요 구성요소

 

티셔츠 냄새 실험

침, 소변, 땀 등의 체액에서 주로 검출되며,

1994년 스위스 동물학자 클라우스 베대 킨트는 여성들을 상대로

44명의 남성이 이틀 동안 입은 티셔츠의 냄새를 세탁 후 맡게 하였습니다.

 

이후 여성들이 선호하는 티셔츠와 면역체계를 분석하였더니

자신과 다른 면역체계를 가진 남성의 티셔츠를 선호하는 경향을 나타냈습니다.

자신과 다른 면역체계를 가진 사람과 자손을 낳게 되면

새로운 면역체계를 형성하는데 유리하기에

서로 다른 사람에게 끌리도록 유전자에 인식된 결과이죠.

 

반면, 면역체계가 자신과 비슷한 남성의 체취를 맡을 시

남자 형제나 아버지의 냄새처럼 느낀다고 나왔습니다.

 

즉, 후각이 우리의 연인의 선택에 있어서도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이죠!

 

이렇듯 냄새는 개개인에 따라 다르지만 생존과 번식, 사회적 상호 작용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고 있으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상 흥. 재. 과였습니다!

반응형

'[흥.재.과] 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로칼로리(feat. 발암물질?)  (1) 2023.10.25
백색소음이란?  (3) 2023.10.21
맛 : 미각  (1) 2023.10.17
소리의 전파 : 청각  (3) 2023.10.10
전고체 배터리란?  (3) 2023.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