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흥.재.과] 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

제로칼로리(feat. 발암물질?)

by GJRScience 2023. 10. 25.
반응형

안녕하세요~ 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의 흥. 재. 과입니다!

 

최근 제로 칼로리 음료는 소비 규모가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무려 2년 만에 시장규모는 4배로 확대되었습니다!

 

아직은 전체 탄산음료 시장에서 25% 정도이지만 전문가 들은

향후 몇 년 이내에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제로 칼로리의 종류와 역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제로 칼로리
제로 칼로리 음료

 

제로 칼로리(Zero Calories)

 

1. 제로 칼로리란?

 

'제로 칼로리 식품'은 칼로리가 없거나 매우 낮은 음료, 음식을 뜻합니다.

언뜻 듣기에는 칼로리가 0인 거 같지만 사실 물조차도

미네랄 및 미생물들로 인해 수학적으로 완전한 0이 되기는 힘듭니다.

(물론 0에 매우 가깝기에 무시해도 되는 수준)

 

따라서 현재 출시되고 있는 제로칼로리 음료는 한국 식품 위생법의 기준에 따라

100ml당 4kcal 미만일 때 '제로 칼로리'라고 표기가 가능합니다.

또한, 100g당 40kcal 미만 혹은 100ml당 20kcal 미만일 시 '저 열랑'이라고 표기합니다.

 

 씹고, 삼키고, 위장~대장을 거치는 모든 소화과정에 필요한 열량이

음식의 열량과 차이가 없거나 더 많을 때 0칼로리에 수렴하기에 가능한 것이죠.

 

2. 인공 감미료

 

그렇다면 어떻게 설탕을 쓰지 않고 단맛을 낼 수 있는 걸까요?

 

그것은 바로 단맛을 내는 인공 화학조미료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인공감미료는 설탕보다 수백 배의 단맛을 내기에 아주 적은 소량을 첨가해도

식품의 감미도를 충분히 높일 수 있는 것이죠.

 

오늘은 인공 감미료 중 가장 대표적인 아스파탐과 사카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아스파탐(Aspartmae)

인공감미료 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달기는 설탕의 약 200배 수준으로

다른 인공감미료에 비해 그나마 설탕의 달기와 가깝습니다.

 

높은 온도에서는 분해가 돼버리기 때문에 주로 음료에 사용되고 있으며

과자 등의 제과류에서는 식품업계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아스파탐은 미국 FDA와 한국 식약처의 승인 아래 안전하게 첨가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이 아스파탐이 국제암연구소의 발표로 인해

발암물질 2B군으로 분류되어 기사 및 방송국 보도로 인해 화제가 됐었는데요.

하여 제로 칼로리의 소비 심리가 위축되는 현상도 일어났습니다.

 

그렇다면 발암물질 2B군으로 선정되었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 발암물질 2B군 아스파탐

출처 - 세계국제보건기구(WHO)

 

위의 표에서 알 수 있든 2B군은 발암의 가능성이 있다고 의심이 되지만

자료 및 실험이 부족하고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물질들입니다!

 

2B군으로 분류되어 함께 분류되어 있는 음식은 대표적으로 김치와 같은 절임야채가 있으며

고사리, 휴대폰에서 나오는 전자기장, 알로에 등이 있습니다.

 

1급 발암물질인 술, 담배, 미세먼지, 가공육 등에 비해

그 위험성이 명확히 입증되지 않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아스파탐의 일일섭취허용량을 넘기기 위해서는 체중 60kg의 일반 성인 기준

제로콜라 250ml를 무려 55캔 이상 마셔야 하니 적정량의 음용은 큰 무리가 없습니다.

반응형

사카린(Saccharin)

사카린은 가장 오래전부터 사용한 인공 감미료 중 하나입니다.

1930년대에 다양한 식품과 음료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게 되었고

당뇨병환자와 다이어트를 하는 소비자들에게 큰 인기를 얻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1977년 캐나다에서 쥐 실험을 통해 사카린을 섭취한 쥐가

방광암에 걸렸다는 연구를 발표하자 사카린에 대한 논란이 불거졌었죠.

 

하지만 이는 2000년대 초반에 들어서 당시 연구과정이 극단적으로 진행되었었고

현재는 기준량 이하로만 섭취하면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결정이 났습니다!

 

심지어 사카린은 발암물질 3군으로 아스파탐이 2B군인 것에 비해 한 등급 더 낮습니다.

(※ 발암물질 3군 : 발암 가능성에 대한 충분한 증거가 없음)

 

제로 칼로리 콜라
제로 콜라

 

3. 인공 감미료의 부작용

 

최근 인공 감미료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여러 부정적인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과식을 유발한다는 것인데요.

 

인공 감미료가 첨가된 음료 혹은 식품을 섭취하게 되면

뇌는 당분 섭취를 받아들이기 위해 인슐린을 분비하게 하지만

실질적으로 당이 섭취되지 않기 때문에 그 당을 보충하기 위해 공복감을 일으킵니다.

따라서 이 공복감으로 인해 더 많은 음식을 유도하게 되는 것이죠.

 

이 밖에도 여러 연구가 발표되고 있지만 아직은 연구 결과가 충분하지 않고

더 많은 검증을 거쳐야 하기에 일일 섭취기준량을 초과하지 않고

건강 상태에 따라 적정량 먹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상 흥. 재. 과였습니다!

반응형

'[흥.재.과] 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산이란?(Feat. 백두산)  (2) 2023.11.02
하이브리드란(Hybrid)?  (1) 2023.10.30
백색소음이란?  (3) 2023.10.21
냄새 : 후각  (1) 2023.10.20
맛 : 미각  (1) 2023.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