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5

겨울에 물고기들이 죽지 않고 사는 이유 안녕하세요~ 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 흥. 재. 과입니다!ㅎㅎ 오늘은 겨울에 어떻게 물고기들이 살아있는지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가장 큰 이유는 얼음이 물보다 가볍기 때문인데요!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수소결합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ㅎㅎ 수소결합 혹시 물의 수소결합이라고 들어보셨나요? 물은 대표적으로 수소결합을 하는 액체 중 하나인데요! 이 결합은 매우 강력하기 때문에 물의 독특한 특성을 갖게 해 줍니다 그중 하나가 물이 0도씨 이하로 내려가면 결정배열이 육각형 구조로 달라져 부피가 늘어나게 됩니다. 밀도 = 질량/부피이기에 질량은 그대로인 상태에서 부피만 늘어나게 되면 밀도는 작아지죠! 따라서 얼음이 물 위에 떠있게 되는 겁니다! 만약 물의 이러한 특성이 없었다면 물고기들은 전부 얼어서 죽게 .. 2023. 8. 30.
왜 하늘은 파란색일까?(Feat. 야구공, 무지개) 안녕하세요~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 흥.재.과입니다! 오늘은 왜 하늘이 파란 색깔을 가지는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하늘이 파란 이유는 바로 빛의 산란 현상 때문입니다! 빛의 산란 이 현상은 빛이 대기의 입자들과 상호작용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산란되는 현상을 말하는데요! 태양에서 나온 빛은 여러 가지 색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색깔들은 빛의 파장에 따라 구분됩니다. 이 중 지구의 대기는 주로 질소, 산소, 아르곤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들 대기 입자들은 빛의 파장이 짧은 파란색을 많이 산란시키게 됩니다. 따라서, 빛이 지구의 대기를 통과하면 파란색 빛은 여러 방향으로 산란되어 하늘이 파란색으로 빛나게 되는 것입니다! (특히, 빛의 파장이 짧은 파란색, 보라색은 다른 색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가지기에.. 2023. 7.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