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흥.재.과] 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

물에 젖는 이유는 무엇일까?(Feat. 방수)

by GJRScience 2024. 3. 21.
반응형

안녕하세요~ 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의 흥. 재. 과입니다!

 

비가 올 때 옷에 물이 젖는 현상은 우리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당연한 현상 중 하나로 받아들여지고 있는데요!

 

이러한 현상은 과학적으로 표면장력표면에너지에 의해

일어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표면장력과 계면에너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표면장력 & 표면에너지

 

표면장력
아래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표면장력

 

1. 표면장력이란(Surface Tension)?

 

물이 젖는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표면장력에 대한 개념을 알아야 하는데요.

 

표면장력은 말 그대로 표면에 존재하는 장력을 말하는데요.

정확히 말하자면 공기와 액체사이에서 액체의 표면이

최소한의 면적을 유지하려고 수축하는 힘을 말합니다!

 

여기서 수축하는 힘은 물 분자의 인력으로서

액체 내부에 있는 물 분자는 상하좌우 대칭적으로 힘이 작용하지만

표면에 있는 물 분자는 아래방향으로만 인력이 작용하기에

표면장력이 생기는 것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하늘에서 떨어지는 물방울은 전부 둥근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그림과 같이 물 표면에 있는 물 분자는 전부 아래로 향하기 때문에 둥글게 되는 것이죠.

 

그렇기에 표면장력이 클수록 물방울은 더욱 잘 뭉치고 퍼짐 성이 낮게 됩니다.

 

반응형

 

2. 계면장력이란?

 

아마 표면장력은 많이 들어보셨을 테지만 계면장력은 조금 생소하실 텐데요!

표면장력액체와 기체사이의 공간에서 액체의 표면에 작용하는 장력을 말하는 것이고

계면장력고체를 기준으로 서로 상이 다른 두 개의 층에서 작용하는 장력을 말하는 것입니다.

 

즉, 고체와 액체 혹은 고체와 기체사이에서 작용하는 힘이 계면 장력인 것이죠.

 

표면에너지
왼쪽 : 높은 표면에너지(잘 퍼짐) / 오른쪽 : 낮은 표면에너지(잘 안퍼짐)

 

3. 표면에너지(Surface Energy)

 

그렇다면 "물에 젖는다"라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요?

 

이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힘(장력)과 함께 에너지(Energy) 측면에서 일어나는

'표면에너지'라는 개념을 이해해야 합니다.

 

아까 표면장력을 설명할 때 표면에 있는 분자는 아래방향으로만 힘이 작용하고

내부에 있는 분자는 전방향으로 균등하게 힘이 작용한다고 했었습니다.

 

표면에 있는 물 분자도 내부의 분자들처럼 여러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고 싶지만

표면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힘을 발산하지 못하고 남게 된 에너지가 발생하게 됩니다.

에너지가 발생한다는 것은 곧 불안정함을 나타내는데요!

 

이러한 표면에너지가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불안정하기 때문에

이 표면의 물 분자들은 항상 다른 원자들과 결합하고 싶어 하죠.

 

따라서 액체분자가 고체분자(ex 옷, 종이 등)에 닿게 되면 결합을 하기에

결과적으로 젖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계면활성제
잘 젖게 하기 위한 계면활성제 사용

 

4. 젖음성

 

잘 젖는다(=젖음성이 좋다)라는 것은 액체가 고체 표면에 잘 퍼짐을 의미하는데요.

이 역시 표면장력과 표면에너지의 관계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불안정한 상태(결합을 하고 싶어 하는 액체 분자)에서 고체 분자와 만나게 되면

안정적인 상태(결합을 마친 상태)로 돌아가고 싶어 하기에

표면에너지, 계면에너지가 크면 클수록 잘 결합하게 됩니다.

 

또한, 액체의 표면장력이 작을수록 응집력이 약하기 때문에 잘 젖게 되는데요.

이 표면장력을 낮추기 위해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계면활성제입니다.

 

방수코팅이 된 옷들도 세제를 넣고 세탁을 하면 물이 옷에 잘 흡수되는 이유가

바로 이 표면장력을 낮추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일상생활에서 물에 젖게 되는 현상의 메커니즘을

표면장력, 계면장력 그리고 표면에너지를 통해 알아보았는데요.

 

흔히 표면장력은 "액체의 표면을 최소화하려는 현상"에서

다른 물질과 만났을 때 어떠한 원리로 결합이 일어나는지 아는 것도 재밌지 않나요?

 

이상 흥. 재. 과였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