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주18 우주에서의 물은 왜 동그란 구형의 모양일까? 안녕하세요~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 흥. 재. 과입니다! 오늘은 물의 표면장력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여러분들이 생각하는 지구에서의 물은 어떤 모양인가요? 컵이나 그릇에 담긴 형태로 물이 존재하겠죠? 바로 중력으로 인해 물이 아래로 향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표면장력 그렇다면 우주에서 물이 구형 모양으로 존재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것은 표면장력이 모든 방향에서 동일하게 작용하여 물 분자를 중심으로 끌어당겨 구를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구형 모양은 무중력 상태에서 부피에 대한 표면적을 효과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죠. 표면장력이 무엇이길래 이게 가능한 걸까요? 표면장력은 액체 표면의 분자 간의 응집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표면장력이 생기는 이유는 분자들 간의 공유결합, 즉 .. 2023. 8. 30. 태양계 탐사 : 목성(Jupiter) 안녕하세요~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 흥. 재. 과입니다! 지금까지 지구형 행성인 수성, 금성, 화성에 대해서 다뤄봤는데요. 오늘부터는 새롭게 가스형 행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지구형 행성과 가스형 행성을 구분 짓는 기준은 아래 표와 같이 구분했습니다! 목성은 영어이름은 그리스 로마신화에서 신들의 왕! 제우스를 뜻하는 Jupiter입니다. 실제로 목성은 태양계에서 태양을 제외하고 제일 크니 태양계 행성들 중에서는 왕이라고 부를 수 있죠. 오늘은 태양계의 왕이라고 불리는 목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목성 1. 목성의 외관 위 사진처럼 허블 망원경으로 찍은 목성은 교과서나 다른 영상들을 통해서 많이 보셨을 거라 생각하는데요. 오른쪽의 제임스 웹이 촬영한 목성은 어떠신가요? 목성의 강력한 자기장으로 인한 .. 2023. 8. 30. 태양계 탐사 : 화성(Mars) 안녕하세요~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 흥. 재. 과입니다! 화성은 태양계 행성 중 가장 많은 탐사활동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행성입니다. NASA와 스페이스 X의 콜라보로 인간을 화성에 보내기 위해서 "스타쉽"이라는 우주선을 개발 중이기도 한 가장 이슈가 되는 행성이기도 하죠ㅎㅎ 약 40억년 전에는 화성의 대기에는 풍부한 상소와 물이 존재했다고 하나 태양풍으로 인해 대기가 손실되어 지금과 같이 황무지처럼 말라버렸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극지방에 얼음의 형태로 남아있는 등 태양계 행성 중 유일하게 인간이 갈 수 있는 행성으로 고려되고 있으며 화성으로의 테라포밍에 대한 기대도 여전히 존재하죠! 오늘은 태양계 행성 중 가장 인기가 많은 화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화성 1. 화성의 외관 화성은 표면에 철 미립.. 2023. 8. 29.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