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겨울2

겨울철 과학 상식 3가지 안녕하세요~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의 흥. 재. 과입니다! 본격적인 겨울이 시작되면서 전국적으로 눈이 오고 있습니다. 이 아름다운 눈은 공기의 냉각, 수증기의 응결, 얼음 결정의 형성 등 다양한 과학적 원리가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실 텐데요. 이 외에도 겨울철 일상에서는 다양한 과학적 원리들이 숨어있습니다! 오늘은 겨울철 과학 상식 3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겨울철 과학 상식 1. 눈이 오면 소금을 뿌리는 이유 눈이 내린 곳에 염화칼슘(NaCl)을 뿌려주게 되면 주변의 수분과 습기를 흡수해 녹으면서 열이 발생하게 되고 그 열이 주변의 눈을 다시 녹입니다. 이는 염화칼슘의 특성 중 하나인 '조해성'이 있기 때문인데요! 조해성이란 고체상태에서도 습기를 빨아들여 스스로 녹는 성질을 말합니다! 이렇게 주변 습.. 2023. 12. 26.
겨울에 물고기들이 죽지 않고 사는 이유 안녕하세요~ 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 흥. 재. 과입니다!ㅎㅎ 오늘은 겨울에 어떻게 물고기들이 살아있는지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가장 큰 이유는 얼음이 물보다 가볍기 때문인데요!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수소결합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ㅎㅎ 수소결합 혹시 물의 수소결합이라고 들어보셨나요? 물은 대표적으로 수소결합을 하는 액체 중 하나인데요! 이 결합은 매우 강력하기 때문에 물의 독특한 특성을 갖게 해 줍니다 그중 하나가 물이 0도씨 이하로 내려가면 결정배열이 육각형 구조로 달라져 부피가 늘어나게 됩니다. 밀도 = 질량/부피이기에 질량은 그대로인 상태에서 부피만 늘어나게 되면 밀도는 작아지죠! 따라서 얼음이 물 위에 떠있게 되는 겁니다! 만약 물의 이러한 특성이 없었다면 물고기들은 전부 얼어서 죽게 .. 2023. 8.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