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 흥. 재. 과입니다!
오늘은 한때 태양계 행성이었지만 지금은 왜행성으로 분류된 명왕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06년까지는 태양계 행성으로 나와있었습니다.)
명왕성의 영어이름은 Pluto로 그리스 로마신화에서
명계의 왕이자 지하세계를 다스리는 신인 하데스를 뜻합니다.
하데스라는 이름이 아래 사진과 같이 약간은 어두운 기운을 내뿜고
태양과도 가장 멀리 떨어져 있으니 추운 환경을 잘 상징하는듯합니다ㅎㅎ
국제천문연맹에서 명왕성이 태양계행성에 왜 포함되었으며
2006년에는 왜 제외되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명왕성
1. 명왕성의 발견
1930년대 외부 은하를 관측하던 미국의 천문학자 클라이드 톰보(Clyde Tombaugh)는
여러 소행성 중 사진관측을 통하여 명왕성을 발견하였습니다.
이 발견은 최초의 미국 천문학자가 미국에서 발견한 행성이었기에
미국 천문학계에서는 매우 상징적인 관측이었습니다!
톰보가 찾은 방법은 약간은 단순하면서 많은 노력이 필요한 작업이었습니다.
먼저 명왕성이 있다고 생각되는 곳에 일정 간격으로 사진을 찍고
촬영한 이미지를 비교하여 별 위치가 바뀌는 곳을 찾아내는 것이죠!
이 방법으로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약 1달)에 명왕성을 찾아낼 수 있었습니다.
2. 태양계 행성 분류 기준
"태양계 행성"이라고 불리는 기준이 관측 당시에는 약간 달랐기에
명왕성은 태양계 행성으로 분류될 수 있었습니다.
또한, 관측기술 또한 현대와 같이 발달하지 않았기에
명왕성의 질량이나 물리적 특성에 대해 명확하게 밝힐 수 없었죠.
하지만 2006년 국제천문연맹 회의에서 행성의 정의가 추가되었습니다.
1. 오직 태양을 중심으로 돌아야(공전) 한다.
2. 자체 질량으로 둥근 모양(안정적인 모양)이어야 하고
핵융합반응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질량이어야 한다.
3. 주변 궤도에 다른 천체에 대한 지배권을 가진다.
이렇게 새롭게 정립된 기준으로 인해 명왕성은 태양계 행성 지위를 잃고
왜행성으로 분류되었습니다.
3. 명왕성의 지위 박탈 이유 3가지
명왕성이 지위를 박탈당할 수밖에 없었던 여러 이유와 근거가 있습니다.
첫 번째, 명왕성의 질량이 생각보다 작았다.
초기 관측당시 명왕성은 지구정도의 사이즈를 예상했지만 천문학이 발달하며
명왕성은 지구의 고작 0.2%밖에 안 되는 아주 작은 행성이었습니다.(달의 1/5배 수준)
두 번째, 카론(Charon)의 발견
카론은 1978년 관측된 명왕성의 위성이며,
참고로 그리스 로마신화에서는 명계로 혼을 인도하던 뱃사공을 의미합니다.
본디 위성이라 함은 행성을 중심으로 공전을 해야 하는데
두 천체의 궤도가 일반적인 행성-위성의 공전이 아니었습니다.
즉, 카론은 명왕성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것이 아닌
명왕성과 카론의 어딘가를 기준으로 어긋나게 도는 것이었죠!
세 번째, 에리스(Eris)의 발견
명왕성 발견 이후 제10번째 태양계 행성을 찾기 위해
여러 천문학 연구가 이루어졌고 그 와중 2005년 에리스가 발견되었습니다.
이 발견이 명왕성의 지위 박탈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죠.
에리스는 명왕성 바깥에 존재하였고 명왕성과 비슷한 크기와 질량을 가졌습니다.
오히려, 에리스는 명왕성 보다 약간 더 무거운 질량을 가졌기에
에리스 또한 태양계 행성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하지만, 에리스뿐만 아니라 화성과 목성 사이에 있는 세레스,
그리고 하우메아, 마케마케 등 유사한 천체들을 이 발견되며
명왕성의 지위에 대한 논의가 붉어졌죠.
아이러니하게도 그토록 명왕성의 지위를 지키고 싶어 했던 미국에서
미국 천문학자의 에리스 발견으로 지위를 결정적으로 박탈당하게 된 것이죠.
네 번째, 명왕성의 공전
명왕선은 태양 주위를 도는 행성임은 맞지만,
주변궤도에 지배권을 갖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명왕성은 해왕성의 공전궤도를 침범하고 있습니다!
해왕성은 이에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지만, 명왕성은 해왕성의 중력의 영향을 받지요.
결국 위의 근거로 명왕성은 토론과 투표를 통해 태양계 행성에서 제외되었으며,
아직까지 일부 학계에서는 이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반대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명왕성이 어떻게 발견되었으며
왜 태양계 행성의 지위를 잃고 왜소 행성으로 분류되었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이상 흥. 재. 과였습니다!
혹시 해왕성에 대해 궁금하신가요???
그렇다면 링크 클릭!
↓↓↓
[태양계 탐사 : 해왕성(Neptune)]
https://jungjr95.tistory.com/42
태양계 탐사 : 해왕성(Neptune)
안녕하세요~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 흥. 재. 과입니다! 오늘은 태양계 행성 중 눈으로 관측할 수 없는 유일한 행성인 해왕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천왕성까지는 맨눈으로도 관측이 가능합니
jungjr95.tistory.com
'[흥.재.과] 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 > [우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랙홀이란?(feat. 사건의 지평선) (0) | 2023.10.06 |
---|---|
오로라란? (1) | 2023.09.27 |
태양계 탐사 : 해왕성(Neptune) (3) | 2023.09.05 |
태양계 탐사 : 천왕성(Uranus) (2) | 2023.09.04 |
태양계 탐사 : 토성(Saturn) (56) | 2023.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