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흥.재.과] 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

인류문명의 진화 : 초전도체(Feat. 아바타) - 2

by GJRScience 2023. 8. 12.
반응형

안녕하세요~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 흥. 재. 과입니다!

 

여러분은 최근에도 개봉한 영화 아바타를 보신 적 있으신가요?

거기에 "언타니움"이라는 물질을 찾고 빼앗기 위해 인간들이 나비족을 공격하죠.

그런데 이 "언타니움"이 사실은 "초전도체"라는 사실!

 

아바타의 자연 배경 中 크고 작은 섬들이

하늘 위에 둥둥 떠다니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초전도현상 중 하나인 마이스너현상인데요

앞전 포스팅에서도 말했듯 마이스너 현상은 외부로부터 자기장이 있다면

내부 초전류 현상으로 인해 반대 방향으로 자기장이 형성되어 공중으로 뜰 수 있는 현상입니다.

 

이 언타니움은 판도라 행성 내의 생태계를 지키고 균형을 이루며

나비족에게는 필수적인 생활자원이죠.

 

그렇기에 인간에게 "언타니움"이라고 하는 초전도 물질은

지구의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물질이기에 자원을 지키기 위해 전쟁을 하는

일종의 "자원 전쟁"영화라고 생각합니다!

 

오늘은 꿈의 물질 초전도체에 관한 이론과 일상생활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마이스너현상
마이스너현상으로 공중에 떠있는 섬

 

BCS이론

 

초저온에서 물질 내 전자들이 결합하여 초전도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설명한 이론입니다!

 

전자는 기본적으로 하나씩 움직이며 전류를 흘려주지만 

저온에서는 전자 두 개가 하나의 쌍으로 묶여 행동하게 됩니다.

 

사실 전자는 같은 음의 전하(-)를 지니기 때문에 같이 묶일 수가 없습니다.

→ 하지만 양자역학적인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것이 가능합니다.

(고전 물리학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현상들이 벌어지는 곳이 양자역학의 세계입니다..ㅎㅎ

알버트 아인슈타인조차 완벽히 이해하지 못했기에 받아들이는 것이 뇌건강에 좋습니다!)

 

즉, 이것을 전자 쿠퍼(Cooper) 쌍이라고 하는데 이 경우 전자끼리 충돌이 사라진 것처럼 됩니다.

즉, 양자역학적으로 저항이 0이 되는 것이죠!

 

고온 초전도체

 

하지만 이 이론도 모든 초전도현상을 100%로 설명하지는 못합니다.

저온이 아닌 그보다 높은 고온에서의 초전도 현상은 이를 납득시키지 못하기 때문이죠.

 

실제로 재표적인 고온 초전도체 중 하나인 YBCO라는 초전도체는

기존의 저온 초전도체(20K, -253.15℃)에서 90K(-183.15℃)까지 올리는 데 성공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기존의 저온초전도체는 초전도현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액체헬륨과 같은 비싼 자원대신 값싼 액체질소로 바꿀 수 있는 성과를 이뤘죠.

 

액체헬륨과 마이스너현상
액체헬륨을 사용한 초전도체

 

액체헬륨이 비싸고 액체질소는 싼 이유?

 

먼저 헬륨자체가 지구 대기 중 매우 작은 포션을 차지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헬륨만을 추출하여 사용하는 데까지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이죠.

 

한 예로 액체 헬륨의 경우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영하 270℃까지 유지한 채로 운송해야 합니다.

하지만 질소는 지구 대기의 78%를 차지하고 영하 196℃미만으로 유지하면 액체로 유지가 가능하죠.

 

때문에 액체헬륨이 액체질소보다 절대적으로 비싼 것입니다!

반응형

초전도체로 인한 인류 문명 혁신

 

1. 전기 손실 Zero화

 

전기 저항이 0이기에 초전도체로 만든 전선만 있다면

아무리 장거리라도 100% 원하는 전류를 흘려보낼 수 있습니다.

 

실제로 현재 전기를 보내는 과정에서 손실되는 것만 평균적으로 3~5%정 도로고 하는데 

전 세계에서 매년 손실되는 전기만으로도 천문학적인 금액이라고 합니다!

이 같은 비용만 줄여도 엄청난 경제적 효과가 있겠죠ㅎㅎ

 

초전도체로 만든 자기 부상 열차
초전도현상으로 구현한 자기 부상 열차

 

2. 최첨단 교통

 

대표적인 예로는 초고속 자기 부상 열차가 있습니다.

 

아까 얘기했던 마이스너의 효과로 인해

지상철도에 자기장을 형성해주기만 한다면 초전도체 열차는 공중으로 뜰 수 있습니다.

 

이렇게 공중으로 띄운 뒤 운용시키면 지상과의 마찰이 없어지기 때문에

지상열차 보다 더욱 빠른 속도로 이동이 가능한 것이죠.

(서울에서 부산을 30~40분 만에 이동)

 

나아가, 진공상태라면 공기와의 마찰도 없기 때문에 더 빠른 초고속 이동이 가능합니다.

 

3. 의료기기의 발전

 

현재 MRI(자기 공명 영상)은 초전도체로 만든 대표적인 의료기기인데요.

이것을 운용하고 유지하는데 액체헬륨을 사용하기에 엄청난 비용이 들고 있습니다.

 

특히, MRI는 비보험항목 이기 때문에 한번 검사하는 게 CT나 X-Ray보다 상대적으로 부담이 되는데요.

이러한 냉각시스템만 없어진다면 X-Ray촬영 가격 수준으로 떨어질 거라 예상합니다ㅎㅎ

이 밖에도 다양한 의료 영상 기기와 항암을 위한 방사선 치료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4. 양자컴퓨터의 보급화

 

초전도체는 양자컴퓨터에 사용되는 주요 물질입니다.

특히, 십진법, 이진법을 사용하는 일반컴퓨터와는 달리 양자컴퓨터는 큐비트라는 연산을 사용하는데요!

 

이때 초전도체가 필수적으로 사용돼야 하기에

현재 구글, IBM 등 글로벌 초대기업이 엄청난 비용을 감수하고 사용 중에 있습니다!

하지만 상온/상압 초전도체는 냉각 등의 유지비용이 없어지기에 일반 대중에게도 

엄청난 고성능의 컴퓨터 보급이 가능해지는 것이죠!

 

5. 핵융합기술의 발전

 

핵융합연료 1g은 석유로 약 8.0t의 에너지 생산이 가능하기에

사실상 에너지 문제를 해결한다고 보는 기술입니다.

 

하지만 핵융합 시에는 수천만 도의 온도로(태양보다 더 뜨거워요) 실험을 하기에

그 온도를 견디는 물질은 지구상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자기장을 이용하여 플라스마를 가두는데

고온에서도 버틸 수 있는 초전도체가 있다면 강력한 자기장은 물론이고

열 손실이 없기에 엄청난 효율과 안정성을 가지고 핵융합이 가능합니다.

 

마음 같아선 LK-99가 상온/상압 초전도체로 밝혀지면서

한국이 세계를 주도하며 에너지와 환경 걱정 없이 사는 시대가 왔으면 좋겠네요.ㅎㅎ 

 

이상 흥. 재. 과였습니다!

 

혹시 초전도체에 대해 궁금하신가요???

 

그렇다면 링크 클릭! 

↓↓↓

[인류문명의 진화 : 초전도체(Feat. 카르다쇼프 척도) - 1

https://jungjr95.tistory.com/24

 

인류문명의 진화 : 초전도체(Feat. 카르다쇼프 척도) - 1

안녕하세요~흥미롭고 재미있는 과학 흥. 재. 과입니다! 오늘은 세계적으로 한국연구진이 LK-99라는 물질을 통해 주목을 받았던 초전도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체 초전도체가 무엇이길래 이

jungjr95.tistory.com

 

반응형